미국 심리학자 페스팅 거는 누구?, 인지부조화 이론이란?, 인지부조화 실험 이야기, 10초 안에 나를 알리는 방법은?
미국 심리학자 페스팅 거(Leon Festinger, 1919~1989)는 누구?
레온 페스팅 거는 20세기의 중요한 심리학자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인물입니다. 그는 인지부조화 이론과 사회 비교 이론과 같은 다양한 이론들을 개발하고 발전시키면서 심리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의 연구는 인간의 행동과 생각의 복잡한 면을 탐구하며, 이를 통해 사회 심리학 및 인지심리학 분야에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였습니다. 페스팅 거는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인지부조화 이론을 발전시켰습니다. 이 이론은 개인이 가진 인식, 태도, 행동 등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때 내부적 불편함을 경험한다는 가설을 다룹니다. 이를 통해 사람들이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지 등을 연구했습니다. 또한 테스팅 거는 사회 비교 이론을 개발하여 개인들이 자신의 능력이나 가치를 타인과 비교하며 자아 개념을 형성한다는 개념을 탐구하였습니다. 이 이론은 자아 평가와 사회적 비교가 어떻게 개인의 행동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습니다. 레온 테스팅 거의 연구는 현재까지도 심리학 분야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의 이론과 아이디어는 여전히 심리학 연구와 교육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인지부조화 이론이란?
인지부조화 이론 (Cognitive Dissonance Theory)은 미국의 심리학자 레온 테스팅 거(Leon Festinger)가 제시한 이론으로, 개인이 가진 태도, 행동, 신념 등의 다양한 인식 요소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때 내부적인 불편함을 느낀다는 가설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 이론은 인간 행동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에 사용되며, 사회 심리학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인지부조화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일관성 있는 자아 개념을 유지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개인의 태도나 행동이 서로 상충되거나 모순되는 경우, 이는 내부적 불일치를 초래하며 이로 인해 불편함이 생긴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려는 욕구가 사람들을 특정 행동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고 이론은 설명합니다. 인지부조화 이론은 실생활에서 다양한 예시로 관찰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인이 금연을 결심했지만 여전히 담배를 피우는 경우, 이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금연을 택하거나 피우는 행동을 바꾸려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론은 또한 소비자 행동, 타당화 메커니즘, 타인과의 비교 등 다양한 상황에서도 적용되며, 개인의 태도와 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인지부조화 실험 이야기
레온 테스팅 거는 1959년에 '인지 불일치 실험'을 통해 인지 불일치 이론을 탐구하였습니다. 이 실험은 개인의 태도와 행동 간의 불일치가 어떻게 내부적인 불편함을 유발하며 이를 해소하려는 경향을 나타내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었습니다.
실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참가자 선정: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은 모두 담배를 피우는 흡연자들로, 실험의 대상은 흡연을 좋아하는 사람들로 한정되었습니다. 시나리오 제공: 참가자들에게 어떤 실험을 진행하겠다는 내용만을 알려주었습니다. 구체적인 실험 내용은 숨겨진 상태로 유지되었습니다. 실험 그룹 분할: 흡연을 좋아하는 참가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었습니다. 첫 번째 그룹은 작은 보상(돈)을 제공하고, 두 번째 그룹은 큰 보상(돈)을 제공하였습니다. 과제 부여: 두 그룹에게 각각 흡연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을 설득하는 과제를 부여했습니다. 작은 보상을 받는 그룹에게는 흡연의 부정적인 점을 강조하는 내용을 주었고, 큰 보상을 받는 그룹에게는 흡연의 긍정적인 점을 강조하는 내용을 주었습니다. 행동 조사: 과제를 수행한 후, 참가자들의 흡연 태도와 행동을 조사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작은 보상을 받는 그룹은 흡연의 부정적인 점을 강조하는 내용을 받은 후에도 흡연에 대한 태도가 크게 변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큰 보상을 받는 그룹은 흡연의 긍정적인 점을 강조하는 내용을 받은 후에 흡연에 대한 태도가 변화하였습니다. 이는 큰 보상을 받는 그룹이 내부적인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흡연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려는 경향을 보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실험 결과는 인지 불일치 이론을 뒷받침하며, 개인이 내부적인 불일치를 해소하려는 욕구에 따라 행동을 조정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실험은 심리학 분야에서 큰 관심을 받으며, 개인의 행동 변화와 태도 형성을 이해하는 데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10초 안에 나를 알리는 방법은?
공통점이 있으면 하나라도 있다면 일단 말해본다. 명함을 받으면 주소를 유심히 살펴보자. 출퇴근 노선이 자신과 같다면 이런 말을 건네 본다. “인천 2호선 타고 다니세요? 저도 그거 타고 출퇴근해요.” 같은 지역에 산다면 “저도 서구 석남동에 살아요.”라고 해본다. 주소를 예로 들었지만 이름, 이메일주소, 전화번호 무엇이든 상관없다. 상대의 명함에 적힌 정보와 자신의 공통점을 찾아서 말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 정도는 명함을 교환하는 10초 만에 충분히 할 수 있다. 누구나 자신과 사고방식이나 취미가 비슷하거나 공통점이 있는 사람에게 더 호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누군가를 처음 만나면 재빨리 자신과의 공통점을 찾아내자 그것을 콕 집어 강조하면 두 사람 사이에는 급속도로 친근감이 생긴다. 서먹하고 딱딱했던 관계가 단번에 ‘공통점’을 지닌 관계로 발전하는 것이다. 또 ‘공감대’가 형성되면 만난 시간이 아무리 짧아도 심리적인 거리는 금세 줄어든다. 명함을 교환할 때 이 방법을 활용하면 천편일률적인 인사만으로 명함교환을 끝낸 것보다 상대방의 뇌리에 열 배는 더 강하게 각인될 것이다. 가바사와 시온저, 황선희 역, 2010, 스펙트럼북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