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 잔의 술
고려 의종 때 예부상서를 지낸 김자의는 성격이 굳세고 바른말을 잘하기로 이름이 났다. 그는 술을 좋아해서 취하면 일어나 춤을 추면서 노래를 불렀는데 국가의 기장을 바로 잡는 내용이었다. 당시 사람들이 “차라리 호랑이나 들소를 만날지언정 김자의가 취했을 때 만나지 말아야 한다.”라고 했다. 그가 강남도로 부임할 때 임금이 “경은 문장과 지조와 절개가 옛사람에게 부끄러운 것이 없으나 다만 술을 과음하니 잘못이다. 지금부터 석 잔만 마시고 더 이상 마시지 말라.”라고 엄명했다. 김자의는 임금의 명대로 지방을 순찰할 때 항상 3잔만 마셨다. 어느 날 절을 지나다가 옛 진구인 노스님을 만나 회포를 풀다가 술을 내오자 김자의가 지난번 임금님이 3잔만 마시라고 하셨으니 부처님께 공양하는 쇠사발을 가져오라고 하여 3번 따라 마시고 떠났다. 문제는 그 쇠사발이 무려 한 말이나 들어가는 대형 사발이었다. 3 말의 술을 마셨지만 잔 수는 3잔이었다. 김자의는 비록 세 말의 술을 마셨지만 3잔만 마시라는 임금의 명을 어긴 것이 아니다. 우리 조상들은 이렇게 호방하고 멋스러움이 있었다. 우리 주위에 이런 호방하고 멋진 풍류가 있는 이들이 잘 보이질 않는다. 역사상 최초로 술을 만든 사람은 하나라의 의적이고, 이를 발전시켜 찹쌀술을 빚은 사람은 두강이다. 우임금은 의적이 만든 술을 마셔보고 “후세에 반드시 술로써 나라를 망치는 자가 있을 것이다.”라 하고 다시는 마시지 않았다. 술은 좋은 음식이다. 예로부터 술은 근심을 잊어버리게 하는 물건이라 하여 망우물 또는 근심을 풀어주는 물건이라 하여 해우물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좋은 것만큼 뒤탈도 많고 화도 많다. ‘술 주(酒)’자는 회의자로 ‘닭 유(酉)’변에다 ‘삼수’를 더하기 한 글자로 닭이 물을 마실 때 한 모금 마시고 하늘 쳐다보고, 또 한 모금 마시고 하늘을 쳐다보듯이 술은 조금씩 천천히 마셔야만 한다는 뜻으로 볼 수도 있다. 옥편에서 ‘술 주’ 자는 ‘닭 유’ 부수에서 찾아야 나온다. 삼수변에 찾으면 하루 종일 찾아도 안 나온다. 술 한 잔을 마실 때 적어도 닭이 물을 마시듯이 3번 나누어 천천히 마셔야 하는 의미도 내포되어 있다. 그런데 폭탄주를 “완샷! 완샷!”하다가 패가 망신한 사람들이 한둘이 아니다. 젖소가 물을 마시면 우유가 되지만 독사가 물을 마시면 독이 된다. 이 풍진 세상에 술을 안 마시고 살 수는 없다. 마시되 주량을 넘지 않으면 후회할 일이 없다. - 선비의 보물상자, 김상홍, 고반, 2014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