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심리학자 에이브러햄 매슬로(Abraham H. maslow)는 누구?
( 1908~1970 ) 프로이트 이래 가장 위대한 심리학자인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인간행동과 동기연구에 관한 세계적인 미국의 철학자이다 심리학자이다. 그는 심리학에서 욕구위계설과 자아실현 개념을 최초로 주창함은 물론 무엇보다도 인본주의 심리학에서의 명성과 리더십과 시너지, 인재 육성, 조직개발 등 경제경영 분야까지 영향을 미쳤다. 인간의 행동과 일터와의 상관관계를 심도 있게 탐구해 마음이 작동하는 원리를 경영의 언어로 나타냈다. 그의 부친은 유대계 러시아인으로 미국으로 이주하였고 자녀 중에 첫째가 매슬로(1908)였다. 그는 부친의 사업 성공으로 뉴욕 시립대학에서 법률 공부를 시작하였으나 1928년 위스콘신 대학으로 옮겨 심리학으로 전공을 바꾸었다. 그 당시 심리학의 진영은 과학적 행동주의자와 정신분석학자들이 심리학을 주도하고 있었는데 매슬로로 인하여 완전히 다른 제3세력의 심리학인 인본주의 심리학이 창설되었다. 또한 그는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에서부터 사랑, 존중 그리고 궁극적으로 자기실현에 이르기까지 충족되어야 할 욕구에 위계가 있다는 '욕구 5단계설'을 주장하였다. 그의 저서로는 《이상심리학 원리 Principles of Abnormal Psychology 》(1941),《인간의 동기와 성격 Motivation and Personality 》(1954), 《존재의 심리학 Towards a Psychology of Being 》(1968), 사후 출간된 《최상의 인간 본성 The 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 》(1971) 등이 있다.
‘매슬로의 욕구 5단계설(Hierarchy of needs)’이란?
매슬로우는 동기를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애정과 공감의 욕구, 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로 나누어 단계별로 욕구가 작용한다고 설명합니다. 생리적 욕구부터 시작하는 하위 욕구가 충족되어야 상위 욕구가 나타나며, 각각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행동에 대한 동기가 나타나며 다음과 같습니다. 생리적 욕구(Physiological needs)는 인간의 생존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식욕, 수면욕 등을 요소들을 뜻한다. 안전 욕구(Safety needs)는 생리적 욕구가 충족된 후에 인지되는 욕구로서 신체적, 정신적 안정감을 찾고자 하는 욕구이다. 애정과 공감의 욕구(love/belonging)는 애정과 공감의 욕구는 대인적 상호작용에서 충족되는 욕구를 의미하며, 기업 등 조직을 구성하는 데 있어 조직 구성원들이 필요로 하는 핵심적 욕구 단계이다. 존경의 욕구(Esteem needs)는 존경의 욕구는 대인관계에 있어 애정과 공감의 욕구보다 상위의 욕구로,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이다. 자아실현 욕구(Self-actualization needs)는 자아실현의 욕구는 최상위 단계의 욕구 단계로, 결핍된 부분을 채워야 하는 필수 욕구 단계가 아니라 스스로 더 나은 단계로 나아가고자 하는 생산적 욕구 단계이다. 이처럼 이 이론은 인간이 욕구를 만족시키며 성장하고 발전해 나가는 과정을 설명하며, 욕구는 단계적으로 순차적으로 충족시켜 나가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매슬로는 높은 단계의 욕구가 충족되기 전에는 낮은 단계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우선적인 것으로 설명하였습니다. 이론은 현재까지도 인간 심리학 및 같은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누구나 ‘칭찬’에 목말라 있다
영화배우 윌 스미스가 주연한 핸콕(2008)이라는 영화에서 핸콕은 하늘을 날고 괴력을 소유한 슈퍼 히어로였지만, 사건을 해결할 때마다 도로와 자동차나 열차를 부스고 사람들에게 큰 불편을 끼치는 바람에 사랑받기는커녕 미움을 사는 형편이지만 PR전문가인 친구의 조언은 ”경찰에게 ‘굿 잡(Good job, 잘했어)’이라고 말해“였다. 그 뒤로 핸콕은 경찰에게 ‘굿 잡’을 연발하며 차츰 경찰과 일반 시민으로부터 신뢰를 회복하고 사람들에게 사랑받는다는 영화 줄거리이다. 이처럼 누구나 ‘칭찬’에 목말라 있다. 사람은 자신을 인정해 주는 사람을 좋아한다. 당연한 말 같겠지만, 여기에는 심리학적인 이유가 존재한다. 사람에게는 ‘승인 욕구’가 존재한다. 이는 ‘다른 사람이 인정해 주었으면 좋겠어‘, ’다른 사람에게 존경받고 싶어.’하는 마음을 말한다. 자아가 인정받고 싶다는 욕구라 해서 ‘자기존중 욕구’라고도 한다. 다시 말해, 사람들은 대부분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다.’라고 생각한다. 오히려 우리 삶은 타인에 대한 무관심과 부정적 반응으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누구나 칭찬에 목말라 있는지 모른다. 지금부터라도 나 자신, 동료 그리고 앞에 있는 사람에게 칭찬하는 습관을 기르자 말 한마디 칭찬이 고래도 춤추게 하질 않는가?
‘감사’와 ‘칭찬’으로 태산보다 무거운 마을을 움직인다.
심리학자 캐럴 드웩(Carol Dweck)과 연구진은 칭찬이 얼마나 학생들의 학업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간단한 실험을 계획했다. 먼저, 학생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고 똑같은 시험문제를 준 위에 시험을 치르게 했다. 그 결과는 A 그룹의 학생들에게는 ”머리가 똑똑해서 점수가 좋구나“라는 칭찬을 했고 B 그룹의 학생들에게는 ”노력한 만큼 점수가 좋게 나왔구나“라고 하며 노력에 대해 칭찬을 했다. 그런 다음 차후에 과제를 주고 시험을 치르게 되었는데 앞전 A 그룹의 학생들의 점수는 형편없이 점수가 나왔고, 반대로 노력을 칭찬받은 B 그룹 학생들의 점수는 놀랄 만큼 높아져 있었다고 한다. 이 실험에서의 교훈은 칭찬을 무작정할 것이 아니라 기술적으로 그 학생의 노력에 대해 칭찬을 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다른 누군가가 내게 ‘감사합니다.’, ‘지난번에는 정말 신세 많이 졌습니다.’라고 인사했다면, 이것은 그 사람에게 도움이 되었다는 증거다. 이처럼 감사와 칭찬은 ‘승인 욕구’를 채우기 때문에 듣는 사람의 기분을 좋게 한다. 아이는 자신을 인정해 주는 부모를 믿는다. 여성은 자신을 좋아해 주는 남성에게 호감을 느낀다. 그리고 비즈니스 세계에서는 부하를 칭찬하고 업무와 능력을 제대로 평가하는 상사가 신뢰받는다. 타인에게 칭찬을 아끼지 않고 감사 인사를 제대로 표현하는 사람이 진정한 성공을 거둔다. 아울러, 누구나 자신을 인정해 주는 사람을 따른다는 말은 명심해야 하는 덕목이 아닐까? -가바사와 시온저, 황선희 역, 2010, 스펙트럼북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