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엄마 손은 약 손?!

by santa-01 2023. 8. 24.

 

사랑
사랑

엄마손은 약효가 있다

어릴 적 엄마 품에 누워 한 번쯤 엄마 손의 놀라운 약효를 경험한 적이 있었을 것이라 본다엄마는 그때마다 배를 쓰다듬어 주시면서 불러주셨던 엄마 손은 약손, 아기 배는 똥배라고 하면서 말이다. 도대체 엄마 손에는 어떤 비밀이 숨어 있기에 이와 같은 놀라운 치료효과가 나타나는 것일까? ‘Placebo effect(위약효과)’ 측면에서 볼 때 엄마 손은 약손이라는 통설은 상당 부분 일리 있는 이야기다. 위약효과란, 약이 실제적인 효과가 없어도 그 약을 먹으면 나을 것이라는 믿음 때문에 통증이 없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전쟁과 같은 극한 상황에서 비교적 가벼운 질병을 앓는 장병들에게 투여되는 약 가운데 이와 같은 위약많다. 아이들에게 엄마는 가장 믿고 따를 수 있는 대상이므로 아이들은 엄마의 손이 고통을 없애줄 수 있다고 굳게 되고, 이것이 배앓이를 멎게 하는 효과를 내는 것이다. 이를 고대사회 주술사의 치료와 유사하다고 말하는 이들도 있다. 한편, 아이들이 배가 아픈 이유는 찬 것을 많이 먹어 소화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일 수도 있다. 이럴 때 따뜻한 손으로 아이의 배 부위를 쓰다듬는 것은 실질적인 치료효과를 발휘한다. 엄마 손의 온기가 아이의 차가운 배에 전달되면 배속이 안정돼 배앓이도 함께 치료되는 것이다. 배를 쓰다듬어 주면 자연스럽게 내장이 자극돼 장운동이 활발해져 배의 통증이 사라진다. 그래서 보통 한의학에서는 위와 장이 약한 사람들에게 배 부위를 둥글게 마사지하는 운동을 권한다. 이렇게 하면 장운동이 활발해져 변비가 사라지고, 변이 노랗게 변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사랑 확인 이론으로 엄마 손의 약효를 설명할 수 있다. 영국의 유명한 동물학자인 데즈먼드 모리스는 사람들의 사랑 확인 절차가 동물등의 털 손질 행위에서 발전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인간은 서로의 확인 절차가 동물들의 털 손질 행위에서 발전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인간은 서로의 몸을 손질해 주면서 사랑의 감정을 뇌에 전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지난 2002년 영국의 과학잡지 네이처엄마의 따뜻한 손길이 자녀의 신경조직을 자극해 정서적 안정과 신체 발육 등을 촉진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 - 일상심리학의 이해, 곽호완외 6인 공저, 시그마프레스, 2005 참고문헌

 

 

플라시보 효과

어느 의사가 이 약은 매우 잘 듣습니다라고 말하며 환자에게 건넨 알약, 실은 아무 효능이 없음에도 병이 호전되는 사례가 제법 있다. 이런 효능 없는 약을 가짜 약이라고 한다. 믿을 수 없을지도 모르겠지만, 이 가짜 약은 가족의 동의 얻고 처방되는 경우가 지금도 있다. 유효 성분이 조금도 들어 있지 않은 약이라 해고 환자에게 정신적인 안정을 가져다줌으로써 증상이 나아질 수 있음을 기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을 플라시보 효과라고 한다. 플라시보는 라틴어로 기쁘게 하다는 의미가 있는 일종의 암시와도 같은 것이다. 다양한 임상실험 결과, 스트레스나 정신적인 것에서 오는 불면 및 통증, 구토감에 특히 효과가 있다고 한다. 또한, 마땅한 치료법이 없는 환자들에게 처방되기도 한다. ‘병은 마음으로부터라는 말도 있듯이 전혀 효과가 없다고도 할 수 없다. ‘이 약은 효과가 있다’. ‘병이 낫는다와 같은 믿음은 사람이 본래 가진 치유력에 힘을 불어넣는 것이 아닐까. 매사에 긍정적인 사고방식이 좋다는 것도 잠재의식이나 믿음으로 행동과 태도가 달라지고, 결과적으로 좋은 영향을 받게 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 웹심리학, 가와시마 고헤이 지음, 미디어브레인 옮김, 라이온북스, 2009, 참고문헌

 

플라시보 효과를 블로그에 녹여보자.

상품 혹은 서비스는 많든 적든 그에게 딸린 꿈을 함께 팔게 된다. 우리가 제공할 꿈에 고객이  흥미를 느껴야 하기 때문에 이에 걸맞은 표현이 필요한 것이다. 칫솔을 예로 들어보자. 칫솔은 충지를 예방함과 동시에 누구나 동경하는 새하얀 치아로 가꾸기 위한 도구이다. 그렇다면 놀랄 만큼 하얀 치아로’, ‘압도적인 화이트닝 효과와 같은 표현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하얀 치아가 됩니다’, ‘화이트닝 효과가 있습니다와 같이 무미건조하고 낡은 표현으로는 꿈을 꾸게 할 수 없다. 이외에도 극적’, ‘경이’, ‘경악’, ‘파괴’, ‘가속’, ‘즉효’, ‘순식간등과 같은 어구를 덧붙여도 좋은 느낌이 난다. 모두가 알고는 있지만 일상적으로 그다지 쓰지 않는 단어일수록 효과적이다. 플라시보 효과가 가짜 약으로 환자를 돕는 것이라면, 웹에서의 플라시보 효과는

위와 같은 표현법을 써서 고객에게 꿈을 제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품 가치에 자신이 있다면 계속해서 꿈을 나누도록 하자. - 웹심리학, 가와시마 고헤이 지음, 미디어브레인 옮김, 라이온북스, 2009, 참고문헌

 

 

 

 
반응형